The Drucker lectures , 드러커강의 정리 (1)

경영학을 창시했다고 일컬어지는 피터 드러커. 피터 드러커의 저술은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많은 영감을 준다. "나는 완벽을 추구했다. 완벽은 언제나 나를 피해 도망갔다. 분명히 말해 나는 한 번 더 시도해 볼 의무가 있었다."


1. 인간의 실존은 어떻게 가능한가?
 - 죽음 : 사회적 인간이 겪게되는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
             "나는 사회에서 무가치한 존재인가?"
   => 신앙을 통해 개인은 보편적인 실존이 되고, 고립된 실존이기를 중단하고 의미있는 절대적 실존이 된다.

 - '공포와 전율 Fear and Trembling' by 키르케고르

 - 생명보험은 19세기의 형이상학이 만들어 낸 여러 제도들 가운데 가장 의미심장한 제도이다. '위험을 분산한다.'는 생명보험의 약속은 죽음의 문제를 인간의 종말로 인식하기보다는 인간 생활의 한 사건으로 간주하려는 시도의 본질을 가장 명쾌하게 표현하고 있다.


2. 국가라는 신화에 대하여
 - 인간 : 이성 ->존재 : 경험은 비이성적이나 신화는 인간의 공통된 경험을 보여준다. 그래서 신화는 이성으로 하여금 우리의 경험을 이해하게 한다.
  => 인간은 집단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그러나 집단 그 자체의 질서를 바꿀 수 있다.
  => 국가라는 신화는 다른 모든 집단들에는 속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국가는 ~해야 한다'라는 당위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시대와 상황에 맞추어 발전해나가야 한다.


3. 지속적이고 완전한 고용을 유지하는 데 따르는 문제들
 - Factors in full employment
   1) 사회적 압력 : 조직된 노동조합을 통해
   2) 현대적 생산 기술 : 간단한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다. 인건비는 더이상 변동비가 아닌 고정비가 되고 있다.
   3) 지적 노동력 필요

 - 산업의 패턴이 내재된 커다란 고용 불안으로부터 보다 큰 고용 안전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은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니다. 큰 문제는 기존의 매우 높은 고용 안전 수준을 그대로 노출하고,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제도화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고용 안정은 개별기업을 강력하게 만들고 경제를 발전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개인의 기회와 자유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ex) 일본의 종신고용제가 오히려 일본의 경제성장을 촉진시키기도 하였다. 이 때 종신고용은 회사 내 교육, 다른 업무로의 이직 등 회사가 하나의 사회집단이 된 상태에서 이루어졌다.
  ex) 대공황에도 실직적 해고는 많지 않았다. 오히려 자발적 퇴사가 많았다.


4. 최초의 기술혁명과 교훈
 - 관계혁명 : 최초의 기술혁명
  => 현재의 국가형태를 규정하였다.
  => 계급 탄생. 지식 보유. 개인 창조. 근대성 확보

 - 기술혁명은 사회적, 정치적 혁신의 필요성을 창출하였다.
  ex) 유목 ->정착
  => 그러나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였으며 오히려 악화시키기도 하였다. 기술혁명은 현실문제 해결책의 주요 특성만을 결정한다.

 - 정보혁명, 또다른 혁명의 발생
  => 사회적, 정치적 혁신이 필요하다.
  => 기술혁명의 시대는 환희의 시대가 아니다. 또한 절망의 시대도 아니다. 그런 시대는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고 또 책임을 지는 시대이다.


5. 거대 조직의 경영
 - 조직 : 지식을 작업에 적용하는 우리들의 수단
  => 지식을 생산적인 작업에 적용한다
  ex) 'GE가 전기 담요의 가격을 올렸다'
    -> GE라는 조직의 단독 행동 X. GE에 근무하는 어떤 사람이 한 일이다. 하지만 'GE가 했다' 라고 인식하고 있다.

 <조직은...>
   1) 인간의 필요 때문에 존재한다 : 조직 그 자체에 의미 X. 회사는 시장에 의해 평가받는다.
   2) 한가지 결과를 위해 다양한 지식인의 능력을 조화시켜야 한다.
   3) CEO의 목표달성능력이 필요하다.
    => 조직 윤리 설정 등

 - 거대 조직 : 20세기, 그리고 개발 구각의 특징. 독특하고 구체적 기회이다. 특히 과거 농사만 짓던 시절을 생각하면 더욱 큰 기회이다.


6. 환경의 정치학과 경제학
 - 환경문제 : input은 있으나 output은 직접 확인할 수 없다.
  => 많은 문제를 개별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우선순위를 통해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야 한다.

 - '이 세상에 무엇이 잘못되었는가'를 묻기보다는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 가'를 알아야 한다.


7. 미국의 미래 교육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
 - 일상생활에는 시작도 있고 끝도 있다. 그러나 학습에는 순서는 있지만 시작도, 끝도 없다.


8. 동료들로 구성된 사회
 - 혁신하는 법을 다시 배워야만 한다
  => 실제로 1차 세계대전 이후 변한 것은 많이 없다.
 - 지식 작업의 생산성을 높여아 한다.
  => 기대감의 희생자가 되기 전에 '성과'가 있어야 한다.


9. 미국 기업에 영향을 끼칠 세계 경제와 사회 구조의 변화
 - 인구, 인구 구조의 변화는 미국의 모든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바꾸고 있다.
 - 국민 경제라는 관점이 더이상 적용되지 않는 경제와, 국민적이어야만 하는 정치 사이에 발생하는 긴장은 증가할 것이다.
   ex) 정치 표를 가진 그들이 일자리를 잃게 된다면? 의 문제


10. 대규모 조직의 증가하는 복잡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진정한 도전이란 기술 변화와 시장 변화에 발맞추어 우리가 무엇을 할지 결정하는 것이다.

 - 복잡한 회사 시스템 내에서 개인들 스스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개인들에게 커다란 책임을 지도록 요구해야 한다.
  => 사람을 바꾸고, 보상 체계를 바꾸고, 개개인을 검토하고 그들을 재배치해야 한다.


11. 정보에 기초한 조직
 - 지식이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고 또 지식을 확산시키는 것은 이미 많이 배웠고 또 지식이 많은 사람들의 책임이다.
 - '나는 어떤 정보가 필요한가?'
 
 <인도에 주둔한 영국군 장교가 상부조직에 업무보고할 때>
  1) 지난주 우리는 어떤 일을 예상했는가?
  2)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3) 우리가 예상했지만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일에 대한 설명은 무엇인가?
  4) 다음 주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하는가?
   => 보고서에는 '명확한 목표'와 '측정 가능한 결과'가 포함되었다.

 <가장 성공적인 조직 : 대규모 교향악단>
  - 경영 계층 수가 훨신 더 적으며, 매우 많은 전문가들이 함께 근무한다.
   ex) 트라이앵글 연주자는 바순 연주자가 되고싶어하지 않는다. 다만 좀 더 나은 트라이앵글 연주를 바란다.
  - 정보에 대해, 목표에 대해, 결과에 대해, 윗사람을 교육시키는 일에 책임을 진다.
  - 전문가로서, 자기 자신을 커다란 그림 속에 통합할 줄 안다.


12. 20세기에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인가?
 - 사람들이 일하는 방법이 가장 전례없이, 예상치 못하게 변한 시대
  => 노동력의 중심이 농부, 산업 노동 계층에서 지식으로 일을 하는 사람에게로 이동하고 있다.

 - 경영 문제와 경영 도전이 있는 분야는 지식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있다.
 - 지식은 그것이 오직 어떤 다른 분야에 적용되는 경우에만 지식이다.


13. 지식을 관리하는 방법
 - 일을 지금과는 다르게 하도록 '우리에게 압력을 가할 것은', '가능하도록 해 줄 것은', 혹은 '도와줄 것은 무엇인지' 알고 있는가에 대한 대답

 - '지식에 기초한 조직은 항상 자신을 진부하게 만들기 위해 출발한다'
  => 해결책 : 조직적 폐기 활동, 전문화 + '성과를 측정해야 한다.'
     ex) '성과 측정' - 생산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가 등

 - 지식을 관리하지 않으면 그것은 원가만 발생시키고 생산에 기여하지 않는다.


14. 지식근로자에게 성과를 올릴 책임을 맡겨라
 - 종업원들이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도와줄 때, 당신은 그들에게 성과를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종업원에게 그만큼 책임을 부과하고, 계속 독려할 수 있게 된다.
 => 형편없는 성과를 내는 사람 혹은 종업원을 잘못 배치하는 사람은 종업원들의 동기부여를 깎아버린다.


15. 지식 조직의 모습과 예상되는 문제점
 - 종업원 수의 감소
  => 블루칼라 노동력 감소. 기업들이 외부로 하청을 준다.
    ex) 도요타의 직원 71%는 하청업체 종웝원들이다. 하청업체 종업원 중 1/7만 종신 고용을 보장한다.

 - 사업은 세계 경제를 감안하고 경영을 해야 한다.
  => 전 세계가 당신의 시장은 아닐지 모른다. 그러나 전 세계는 당신의 경쟁자이다.

 - 지식 조직의 '성과 측정'이 필수적이다.


16. 변화의 시대에 기본은 더욱 중요하다.
 - 새로운 것을 추진하는 사람들은 오늘날 연속 가능한 조직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 기본적인 가정을 이해하지 못하면, 그 가정이 포함하고 있는 한계를 이해하지 못한다.




댓글